은발(銀髮)의 추억
1971년 4월, 서울시청 광장에서는 지하철1호선 착공식이 거행되었다. 당시 나는 고등학교 1학년이었는데, 우리학교 고1 전교생 600여명은 지하철 첫 삽을 뜨는 기공식 축하기념곡인 <지하철의 노래>를 부르기 위해 합창단의 자격으로 이 역사적인 행사에 참여하였드랬다.
‘지하철이 뚫린다. 600만 시민의 안전과 평화와 부푼 꿈으로,
지하로 벋어가는 겨레의 70년대 또 하나의 기적을 이룩해보자’ 라는 노랫말은 땅속으로 기차가 다니게 된다는 사실이 너무너무 신기했었고, 그래서인가 어언 53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도 또렷하게 부를 수 있을 정도다.
이후 3년여 공사를 마친 1974년 8월15일, 지하철1호선 개통식이 열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오전에 있었던 광복절 경축식에서 영부인 육영수여사가 저격당하는 비통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 날 나는 휴머니스트회 회원들과 함께 계룡산 캠핑 중이었는데, 라디오 중계방송을 듣던 중 타당탕!! 하는 어수선함을 전파를 통해 고스란히 들으며 나라에 무슨 변고가 생겼구나 했었다. 그리하여 온 나라는 침통함으로 무겁게 가라앉았으나, 지하철1호선은 계획대로 거대한 메트로시대를 향한 마중물로 발을 내딛었던 것이다. 청량리-서울역을 오가는 짧은 단선 구간이던 1호선조차 놀라움으로 바라보았던 터였는데, 50여년이 지난 오늘날 9호선은 물론 공항철도에 이르기까지 이토록 방대한 그물망으로 벋어나갈 줄 짐작이나 했을까.
수십 년간 여기저기서 지하철공사로 불편한 곳이 많았었지만, ‘Subway becomes easier, travel becomes easier.’라고 쓰여진 전철홍보물이 말해주듯, 지하철은 편리하고 쉬운 교통 수단이 되었다.
![]() |
![]() |
![]() |
1974년 4월, 대학생이 되자마자 가입하게 된 써클에서 첫눈에 어떤 선배에게 이끌렸었다. 땅속으로 기차가 달린다는 빅뉴스 이후 누구보다 먼저 지하철을 타봤다는 사실은 나름 자랑거리였다. 지하철이 개통된지 1주일이 지난 즈음, 나는 바로 그 선배님과 함께 종로5가역에서 지하철을 처음으로 타 보는 기분 좋은 시간을 갖게 되었다. 어느덧 가슴 콩닥이던 스무 살 청춘은 흘러가버렸지만 그날의 지하철 데이트는 잊을 수 없는 추억으로 남아있다. 당시 함께 활동했던 서클의 선후배들은 수십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간간히 모임으로 연결되고 있기에 그 선배님을 더러 만날 수 있기는 했다.
하지만 한동안 그의 모습을 볼 수도 없고 연락조차 되지 않으니, 아마도 투병 생활로 힘들어하고 있을 거라는 추측은 어느 정도 들어맞을 것이다. 아프다. 74학번 새내기, 74년 개통된 1호선 열차의 첫 탑승의 순간을 함께 했으며, 같은 해 국립극장에서 열린 <광복30주년기념음악회>의 김남윤 바이올린 콘서트를 보러가기 위해 장충동 언덕길을 올라가며 설레던 시간. 서로 클래식음악을 좋아한다는 구실을 들어 명동 필하모니음악감상실을 들락거렸던 풋풋하던 젊은날들은 이제 흑백영화의 장면처럼 남아있을 뿐이다.
내가 ‘지공맨’이 되던 날이 생각난다. 1년 이상 빠르게 되어 있는 억울한 내 생일 때문에 일찌감치 받게 된 ‘지하철 공짜카드’는 솔직히 그다지 달갑지만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새 경로 우대에 익숙해진 나를 보면서 고개를 내젓곤 한다.
전철 벽면에 붙여진 단촐했던 1호선구간 노선도는 운행역이 늘어남에 따라 한두 정거장 씩 새로운 스티커로 덧대어졌으며,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는 환승역들을 거치면 못 이를 데 없을 만큼 힘차게 벋어나갔으니, 그야말로 <지하철의 노래>의 노랫말에서처럼 ‘겨레의 70년대’는 기적을 잉태했던 것이다.
지하철과 함께 달려왔던 기나긴 세월을 지나 젊은 그대들은 은발이 되어 저마다 추억의 사진들을 이처럼 꺼내보고 있을까. 가끔 서글프긴 하지만 인생의 종착역에 이르기까지, 주어진 이 시간을 감사하며 메트로 시절을 즐감할 것 같다.
<< 지하철 50주년 스토리텔링>>